본문 바로가기
책리뷰

<북리뷰>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by 러블리 수 2020. 4. 7.
반응형

원숭이도 이해하는 자본론

1강 <자본론> 왜 알아야 하죠? 지금 마르크스 <자본론>을 읽는 까닭

2강 자본주의는 모든걸 '상품'으로 만들어버린다-상품의 사용가치와 교환가치

 

상품이 사용가치를 가진다는 것은 쓸모가 있다는 뜻

교환가치는 모든 상품은 각각 다른 상품들과 교환되는 비율이 있다.

예를들어 중형 승요차 한대 값으로 30인치 고화질 tv열대를 살수 있다. 이 교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로 화폐라는 통일된 개념을 도입

교환가치는 각 상품이 다른 상품들과 교환되는 비율을 말한다.

 

상품들이 서로 교환될수 있는 이유는 그것들이 모두 노동의 성과물이기 때문이다.

교환되는 비율은 그 상품을 만드는데 사회적으로 필요한 노동 시간에 따라 결정된다.

 

3강 돈은 어떻게 자본이 될까요?-자본의 일반공식

 

4강 이윤은 노동자의 빼앗긴 노동시간에서 나온다-가치가 창출되는 생산과정

노동력의 대가

상품의 가치=C(불변자본)+V(가변자본)+S(잉여가치)

 

5강 자본가를 위해 더 많이 일하는 게 좋을걸?-절대적 잉여가치

자본가는 직원을 쥐어짜 노동을 더 많이 시켜야 이익을 얻는다.착취

 

6강 기술이 발달할수록 더 착취당한다고?-상대적 잉여가치

임금이 4퍼센트 올랐고 물가도 똑같이 4퍼센트 올랐다.=>임금 동결

인플레이션 말고도 상대적 잉여가치 창출로 "상대적 빈곤" 곧 빈부격차가 늘어나는 상황을 은폐하는 또 한가지 요인이 있다. 그건 생산력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생활 필수품의 가치가 하락한다는 사실

생활 필수품의 가치가 하락하면 절대적 삶의 질은 높아지더라도 상대적 삶의 질은 오히려 낮아지는 결과 가 나온다.

 

기술의 자본주의적 사용이 문제!!

 

7강 성과급제? 자발적 "착취"강화 -이윤율과 착취율

이윤율=S(잉여가치,이윤)/ C(불변자본,생산수단)+V(가변자본,노동력)

 

성과급이란 것이 자본가 편에서는 노동강도를 강화시키고 경쟁을 부추겨 이윤을 더 뽑아낼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는것 

 

8강 이기적 인간, 자본주의 사회에 맞춰진 인간-자본주의 게임의 법칙

자본주의는 인간이 노동으로 만들지 않으면 아무것도 얻을 수 없는데도 모든것을 돈이 가능하게 한다는 환상을 심어준다. 마르크스는 이렇게 자본주의가 모든것을 화폐에 대한 환상으로 바꿔버리는 현상을 가리켜 "물신주의"라고 했다.

 

9강 자본가는 이윤을 어떻게 쓸까요?-단순재생산과 확대 재생산

 

10강 자본가들은 "잉여가치"라는 파이 하나를 두고 싸운다-자본의 분화와 회전시간

 

11강 자본주의 세상에 독점자본과 공황은 필수!-자본의 집중과 경제위기

노동자가 일하는 현장에서 주인이 될때야 말로 진정한 민주주의가 이루어진다.

"과잉생산"으로 "생산의 무정부성"때문에 과잉생산에 따른 공황이 발생한다.

마르크스는 경제가 자본가들의 개인적인 이윤 추구 욕망에 따라 무정부적으로 운용되어서는 안되고, 노동자가 생산수단을 통제하며 민주적인 결정 구조에 따라 사회 전체의 이익에 맞게 계획적으로 운용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12강 기술이 발전할수록 이윤율은 떨어진다-이윤율 저하 경향의 법칙

 

13강 제국주의,내것도 내것,네것도 내것-독점자본과 식민지 지배

군사적으로 대놓고 지배하는 것이 "식민지주의"라면 드러나지 않게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교묘하게 지배하는 것이 "신식민지주의"

 

신 식민지 개척의 도구 3가지

-WTO (WORLD TRADE ORGANIZATION)세계무역기구: 회원국이 무역 장벽을 없애거나 관세에 관해 회의를하는데 합의를 도출하기가 힘이든다.

-FTA (FREE TRADE AGREMENT) : 자유 무역 협정

->미국이 FTA를 추진하는 나라들의 공통점은 강력한 영향권에 있다.

경제주권을 미국에게 넘겨주는 내용.시장을 개방한 후에 자국의 독점자본들에게 먹잇감으로 던져주는격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 : 국제통화기금

->우리나라 외환위기때 외환보유고가 바닥나서 IMF에 급하게 돈을 빌릴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그렇지 않으면 국가부도가 날 판국이었기때문.그런데 IMF는 우리가 급히 요청한 달러를 그냥 빌려주지 않고 여러번에 걸쳐 쪼개서 빌려주면서 조건을 달았다.

-공기업 민영화

-정부규제 철폐

-복지 등 공공지출 대폭 축소

-외국 기업을 위한 완전한 개방

-기업에 대한 세금감면

-임금 동결 및 삭감

-노동조합 무력화

-노동 유연화

이러한 것들은 모두 제국주의 독점자본이 우리나아레 들어와서 최대한 장사하기 좋은 환경을 만드는 조건

 

14강 국가는 절대 중립이 아니에요-국가의 계급성

작고 강한 정부 : 정부의 덩치를 줄인다는 명목으로 정부가 관리하던 국영기업들을 민영화시킴.교육,의료,전기,통신,철도,수도 등 사회의 기반시설을 민영 기업화 하는것.

국가 의료보험을 축소하고 민간 보험을 대폭 도입.

국가가 국민의 건강을 위해 맡아왔던 최소한의 의료 영역마저 자본의 돈벌이 수단으로 넘겨줌.

대학입시를 소위 "자율화"하고 자립형 사립고를 도입해서 학생들을 입시의 무한 경쟁으로 내몰고 교육분야를 사학들의 돈놀이 판으로 던짐.

또한 공공 서비스로 제공되던 전기,통신,철도,수도 등을 자본의 이윤 추구 대상으로 내줌.

세계 곳곳에서 이미 확인된 바대로 전기,통신,철도,수도 민영화는 대책없는 요금일상을 불러와 가난한 사람들은 필연적으로 이러한 서비스에 접근하기 힘든 결과를 낳는다.

이렇듯 정부의 공공기능을 자본에게 돈벌이 수단으로 내주는 것이 이른바 "민영화"이다.

 

15강 민중이 주인되는 세상은 가능한가요?-베네수엘라의 21세기 혁명

추후 읽어볼만한 책 

"차베스,미국과 맞짱뜨다"

 

<베네수엘라>

무상 의료 무상 교육의 나라,베네수엘라를 방문하다.

미인과 석유의 나라 베네수엘라

세계 5위의 산유국

 

 

 

 

 

 

 

 

 

 

 

 

 

 

 

 

반응형